일상다반사

입춘, 입춘대길 건양다경, 수여산 부여해

행복한도둑 2020. 2. 4. 12:10

 

안녕하세요 행복한도둑입니다 ^^

(음슴체, 반말같은 혼잣말 주의!!!)

 

24절기 중 하나인 입춘(봄이 들어서는 날) 입니다

가정에서는 콩을 문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대문 기둥, 대들보, 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붙이는 날.

 

동네에서 입춘굿을 크게 하고

심어 놓은 보리 뿌리를 뽑아 풍흉을 점쳤고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는 속설이 있답니다

 

 

■ 아홉차리 풍속

자신이 맡은 일을 아홉번씩 한다

가정주부 : 빨래 아홉 번 하기

학생 : 글 아홉 번 읽기

 

자신이 감당할 일들을 아홉번씩 부지런하게 하면

복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깨우치는 풍속이었답니다

 

 

■ 오신채

파, 마늘, 달래, 부추, 무릇 등 다섯가지 매운 나물인데

한해의 첫 절기에 맵고 쓴 오신채를 먹음으로서

삶의 쓴맛을 미리 깨우치고

참을성을 키운다는 교훈이 있답니다

 

 

■ 적선공덕행

드러냄이 없이 남몰래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좋을 일을 해야

한해동안 있을 액을 면한다하여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는 날이었답니다

 

 

궁에서는 신년의 상서로움을 떠올리며

시구를 적어서 내면

그중 가장 좋은 시구를 뽑아

연잎 또는 연꽃무늬 그린 종이에 써서

대궐 안 기둥이나 문설주에 붙이게 하였답니다

(춘첩자, 춘축,  등으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여러분은 문앞에 어떤 글귀를 써 붙이셨나요?

 

어린아이의 천진난만한 글씨로 쓰면 더 좋다는

입춘축의

 

가장 일반적인 글귀는

입춘대길 立春大吉 건양다경 建陽多慶

입춘을 맞이하여 크게 좋은 일이 생기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기를 기원한다

 

 

 

 

수여산 壽如山 부여해 富如海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해진다

 

소지황금출 掃地黃金出 개문백복래 開門百福來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온다

 

외성인 畏聖人 문장자 聞長者

성인을 두려워하고 어른의 말씀을 듣는다

 

향기 萫祺

봄나물국을 먹으며 복을 기원한다

 

한지를 마름모꼴로 해서

왼쪽 대문 용 龍, 오른쪽 대문 호 虎

좌청룡우백호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쁜 기운이 집안으로 들어오는 걸 막고자 했음

 

 

춘첩자는 교육적인 내용 뿐만 아니라

집안의 복을 빌고 액운을 막으며

나라의 안녕까지 비는 문구를 사용했습니다

 

 

대문은 집의 첫번째 관문이니

액운을 막고 복이 들어오는 길목으로써

입춘첩을 붙였다고 합니다

 

 

춘첩자를 팔 八자 처럼 보이게 붙인다는데

입 入 자인 줄 알았는데 팔 八 자라니....

 

홀수가 양의 숫자라고 해서 

길일은 1월 1일,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인데

 

음수인 8 팔을 좋아하는 이유는

중국인들이 큰돈을 번다는 파차이 發財 와 

발음이 비슷해서 라고 하니 흠흠...

 

 

입춘첩이 두장일 경우

입춘대길이 오른쪽, 나머지 왼쪽,

八, II 형태로 붙임

 

한장일 경우

기둥이나 대문의 중앙

I, ㅡ, ↘ 형태로 붙임

 

붙이는 곳

대문, 중문, 기둥,

아버지방, 어머니방, 곳간 등

 

중국에서 복 福 자를

대문 겉에는 똑 바로 붙이고

안쪽에는 거꾸로 붙이는 것과 같은 것일까요?

 

복을 거꾸로 붙이는 것은

거꾸로 된 복, 도복 倒福 dào fú 이라고 하는데

그 발음이 때가 도달했다, 복이 온다라는 것과 같아서 랍니다

(명태조 주원장과 마황후 매우 큰 발 일화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 절기 >>

 

1/5경 소한, 1/20경 대한

2/4경 입춘, 2/19경 우수

3/6경 경칩, 3/21경 춘분

4/6경 청명, 4/20경 곡우

5/5경 입하, 5/21경 소만

6/6경 망종, 6/21경 하지

7/7경 소서, 7/23경 대서

8/7경 입추, 8/23경 처서

9/8경 백로, 9/23경 추분

10/8경 한로, 10/23경 상강

11/7경 입동, 11/22경 소설

12/7경 대설, 12/22경 동지

 

 

 

어렸을 때 부모님과 함께 살 때 빼고는

절기를 잘 따지지 않았습니다

 

동지팥죽도 동지 한참 지난 후에 먹고 왔으니까요 ㅎ

 

또... 곧, 2월 8일은 정월 대보름!!!

새해 첫 보름날로써 농사의 시작을 하는 날

 

그리고 부럼 깨무는 날 ^^ㅋㅋㅋ

 

보름날 새벽에 날밤, 은행, 호두 무 등을 깨물며

'1년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주세요'라고 하고

첫번째 깨문 것은 마당에 버리면 된답니다

 

1년동안 가족의 건강을 빈 것이지요

 

농사를 짓지는 않지만,

절기를 알면 여러가지 이점(?)들이 있으니

알아두는 것도 좋겠습니다

 

 

여담.

2020년 입춘첩을 붙이는 시간은

2월 4일 18시 03분입니다

 

이는 책력(만세력)에 의한 것이므로

매년 시간이 달라집니다

 

한번 붙인 입춘첩은

내년 입춘이 오기 까지 그대로 두고

그 다음해에

지난해 입춘첩 위에 붙이는 것이 관례입니다만

 

요즘에는 바로 다음 절기인 우수 전날에

입춘첩을 뗍니다

 

상중에는 입춘첩을 붙이지 않습니다